톰캣 실행에러 쉽게 처리하자!(feat. 내가만든 프로그램…)
이클립스 또는 스프링으로 톰캣을 돌리다 보면 이런 에러를 가끔 마주하곤 한다.
- Starting Tomcat v 8.5 Server at localhost …
- Port 8080 is already in use …
※ 나는 포트를 web.xml에서 변경해주는 식의 포스팅은 아니다
논외로 오라클을 먼저 설치하고 톰캣을 설치한 경우에는 포트번호가 충돌하기때문에 web.xml에서 포트번호를 바꿔야 한다. 하지만 여기에서는 이 내용을 다루지 않는다.
분명히 사용하던 IDE(이클립스, 인텔리J 등등)을 다 껐는데도 톰캣을 실행하면 오류가 난다. 이런 경우는 실행되고 있는 톰캣을 직접 꺼줘야한다.
뭐 cmd창을 열고 netstat에 등등..뭐 말이 많지만… 나는 방법론적인거보다 결과를 툭 던져드리겠다. 계속 이 오류를 마주칠 때마다 netstat ano find ~ 언제치고있을것인가..? 직접 만든 windows10 Batch(실행)파일을 첨부한다.
유튜브
파일
https://drive.google.com/file/d/1jBel3k-H3CFjl4PC3z07Q1XcF4kcHN6H/view?usp=sharing
- 실행 화면이다 출력된 그대로 ‘80’이 붙은 실행 중인 포트들을 출력한다. 나는 톰캣을 켜놓지 않은 상태라 없다.
- 기본포트인 8080 그대로 사용중이고, 종료하고 싶다면 그냥 엔터를 치면 된다.
2-1. 다른 포트로 변경했다면(Ex: 나는 오라클이랑 충돌나서 8090포트로 변경했다) 다음줄에 포트번호를 입력한다.
- 2초뒤 그 포트를 가진 프로세스를 죽인다
- 결과화면을 보면 성공or오류 표시가 뜨지 않은 것을 볼수있다. 이 경우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.
실제 테스트
- 톰캣이 설치된 곳으로가서 bin 폴더에서 startup 파일을 실행시켜준다.
- 한글이깨지는건 무시…) 하고 잘 동작중인것을 알 수 있다.
- 톰캣 kill 배치파일을 실행시켜서 8090포트(나의경우)가 실행중인 것을 확인 후 8090을 입력해주자
- 뒤에 떠있던 프로세스가 죽고 성공과 오류 메세지를 볼 수 있다. 오류메세지는 반복문으로 돌리느라 표시된 것이니 걱정말자!
결론
그냥 내가 만든거 쓰자. 혹시나 불안하면 배치파일 까보면 된다 별거없다 ㅎㅎ 색깔 바뀌는건 귀엽게 추가해봤다. 많이 사용해주신다면 감사하겠다!!! https://drive.google.com/file/d/1jBel3k-H3CFjl4PC3z07Q1XcF4kcHN6H/view?usp=sharing